과민성대장을 선택한 프로님께,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반복적인 복통, 복부 불편감, 복부 팽만감, 배변 빈도 혹은 배변 형태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일반적인 위장 기능 장애를 의미해요.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전체 인구의 약 20%가 한 번쯤은 경험한 적이 있는 흔한 증상이며 특히 20~30대 젊은 층에서 나타나요.
과민성 대장증후군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지만 지속되면 정신적, 육체적 고통으로 인해 삶의 질을 현저히 떨어뜨릴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해요 
과민성대장은 왜 생길까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어요.
어떤 원인들이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영향을 주는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원인
1. 과민성 내장감각
정상인에 비해 내장 자극에 예민한 경우를 의미해요.
과민성 내장감각은 감염, 염증, 스트레스, 호르몬 변화, 특정한 음식물 섭취 등 다양한 자극에 의해 발생합니다.
2. 장과 뇌의 연결축 이상¹⁾
최근 연구에 따르면 장과 뇌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요. 이러한 경로에 문제가 생기면 위장 질환이 생길 수 있어요.
특히 스트레스가 뇌에 장기간 영향을 미치면 과민성 대장 증후군이 생긴다고 알려져 있어요.
3. 비정상적인 장 운동
음식을 먹는 등의 자극이 장 운동 이상을 일으키면 복통이 발생해요.
4. 장내 미생물 불균형
장 속의 유해균 비율이 높아지면 복부 불편감을 느끼게 돼요.
알고케어가 과민성대장으로 불편하지 않게 도와드리는 방법
유산균 스틱포를 꼭 챙겨 드세요
장내 미생물은 과민성 대장에 중요한 역할을 해요.
실제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과민성 대장 장후군 환자들은 락토바실러스와 비피도박테리아가 감소되어 있고, 염증을 일으키는 세균의 비율이 높게 나타납니다.²⁾
때문에 락토바실러스와 비피도박테리아가 함유된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을 섭취하면 과민성 대장 증후군 개선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여러 과민성 대장 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들을 종합한 결과,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전반적인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이 있어 그 효과가 다각도로 증명되어 있어요.³⁾
과민성대장에 도움이 되는 생활습관
알고케어의 프로바이오틱스 스틱을 챙겨 드시는 것도 중요하지만, 생활습관을 조절하면 더 효과를 볼 수 있어요.
어떤 생활습관이 도움이 되는지 소개드릴게요 
과민성대장을 위한 생활습관
•
신체활동 늘리기
•
적절한 운동과 휴식
•
스트레스 조절
•
규칙적이고 균형 잡힌 식사
•
대장 자극하는 기름진 음식, 인스턴트 음식, 카페인, 알코올 등을 피하기
•
식사 일기 쓰기
식사를 기록하면서 장의 불편을 유발하는 음식을 찾아서 멀리해보세요.
지금까지 과민성대장에 도움이 되는 내용이었어요.
알고케어와 함께 영양 한 잔으로,
프로님의 장 건강까지 케어 받으세요 
출처:
1) Oświęcimska J, Szymlak A, Roczniak W, Girczys-Połedniok K, Kwiecień J. New insights into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Adv Med Sci. 2017;62(1):17-30. doi:10.1016/j.advms.2016.11.001
2) Zhuang X, Xiong L, Li L, Li M, Chen M. Alterations of gut microbiota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Gastroenterol Hepatol. 2017;32(1):28-38. doi:10.1111/jgh.13471
3) Didari T, Mozaffari S, Nikfar S, Abdollahi M. Effectiveness of probiotics in irritable bowel syndrome: Updated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World J Gastroenterol. 2015;21(10):3072-3084. doi:10.3748/wjg.v21.i10.3072